양산 북부동 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산 북부동 산성은 경상남도 양산시 동산의 9부 능선에 위치한 테뫼식 산성이다. 신라 시대에 낙동강을 통해 경주로 침입하려는 일본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성곽과 성벽이 파괴된 상태로 남아 있다. 다방천과 낙동강으로 연결되는 교통로를 통제하기 위한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며, 인근의 성황산성, 고장성과 연계되어 방어 체계를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가야와 신라의 토기 조각이 출토되었고, 주변에 고분군과 패총이 있어 신라 시대의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산시의 문화유산 - 양산 증산리 왜성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낙동강과 양산천 합류 지점에 군사적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 축조한 왜성으로, 동쪽과 서쪽에 성을 쌓아 연결한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현재는 성벽 일부만 남아있다. - 양산시의 문화유산 - 양산 신기리 산성
양산 신기리 산성은 경상남도 양산시 신기동 서낭산 정상부에 위치한 신라 시대의 산성으로 추정되며, 남쪽 서낭산성과 북쪽 북부동산성을 연결하는 쌍성 형태를 띠고, 주변 유적들과 함께 이 지역의 역사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양산시의 건축물 - 원동역
원동역은 1905년 개업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역사 신축 및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는 일부 ITX-새마을,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을 갖춘, 낙동강과 원동천 인근의 자연 친화적인 역이다. - 양산시의 건축물 - 물금역
물금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한다. - 경상남도의 사적 - 김해 봉황동 유적
김해 봉황동 유적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며, 조개더미 성격의 유적으로 붉은 토기, 가야 토기 파편, 화천 등이 출토되어 한반도 남부 지역 선사시대와 중국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경상남도의 사적 - 진주성
진주성은 고려 시대부터 왜구 방어의 요충지였고 임진왜란 당시 격전지였던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석성으로,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제1차 진주성 전투와 많은 민관군이 순절한 제2차 진주성 전투의 역사를 지니며 현재 사적 제118호로 지정되어 촉석루, 의기사, 영남포정사 등 다양한 문화재와 유적을 포함하여 관리되고 있다.
양산 북부동 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양산 북부동 산성 (梁山 北部洞 山城) |
영문 명칭 | Fortress in Bukbu-dong, Yangsan |
지정 종류 | 사적 |
지정 번호 | 98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재지 |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 중부동, 다방동 |
시대 | 신라 |
면적 | 205,785m2 |
2. 위치 및 지리적 특징
양산시 동쪽 동산(276.8m)의 9부 능선에 띠를 두르듯이 돌로 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양산군 동쪽 3리에 돌로 쌓은 옛 산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방위와 거리로 보아 이 산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2]
해발 195m의 동산 꼭대기 부근에 돌로 쌓은 산성으로, 현재 성곽과 성벽은 모두 파괴되어 허물어진 상태로 남아있다.
남쪽 정상에서 북쪽으로는 경사가 완만하나, 시내 쪽의 서쪽 사면은 경사가 급하다. 성벽은 자연지형에 맞추어 축조되었는데, 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을 보이고 있다.[2]
산성의 남쪽은 다방천을 따라 부산·기장 방면으로 연결되고, 남에서 낙동강을 거슬러 오르는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의 성황산성과 서쪽 오봉산의 고장성과 연락하면서 이러한 교통로를 통제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2]
3. 역사
정확한 축성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 때 낙동강을 따라 수도 경주로 침입하려는 일본을 막기 위해 처음 쌓은 것으로 여겨진다.
양산의 시가지를 발 밑에 두고 멀리 낙동강까지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비록 무너진 상태로 남아있지만, 성이 만들어진 당시 성의 규모와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성의 북동쪽에는 이 산성과 비슷한 신기리 산성이 있어 쌍성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근처에 고분군과 양산 패총이 있어 이 일대가 신라시대의 중요한 곳으로 여겨진다.
신동국여지승람에는 양산군 동쪽 3리에 돌로 쌓은 옛 산성이 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북정리 산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2]
산성의 남쪽은 다방천을 따라 부산, 기장 방면으로 연결되고, 남에서 낙동강을 거슬러 오르는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2] 북쪽의 성황산성과 서쪽 오봉산의 고장성과 연락하면서 이러한 교통로를 통제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것으로 생각된다.[2]
성안에서는 가야, 신라의 토기편과 기와편들이 출토되고 있으며, 동쪽 사면에는 5~6세기 경의 토기들이 출토되고 있는 중부동 고분군이 있어 삼국시대에 쌓았던 성으로 추정된다.[2]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적으로 기록되고 있어, 조선 전기에는 이미 폐성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2]
3. 1. 축성 시기 및 목적
양산 북부동 산성은 정확한 축성 연대는 미상이지만, 신라 시대에 처음 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동국여지승람에는 양산군 동쪽 3리에 돌로 쌓은 옛 산성이 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북정리 산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2]
산성의 남쪽은 다방천을 따라 부산, 기장 방면으로 연결되고, 남에서 낙동강을 거슬러 오르는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2] 북쪽의 성황산성과 서쪽 오봉산의 고장성과 연락하면서 이러한 교통로를 통제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것으로 생각된다.[2]
성안에서는 가야·신라의 토기편과 기와편들이 출토되고 있으며, 동쪽 사면에는 5~6세기 경의 토기들이 출토되고 있는 중부동 고분군이 있어 삼국시대에 쌓았던 성으로 추정된다.[2]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적으로 기록되고 있어, 조선 전기에는 이미 폐성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2]
3. 2. 출토 유물 및 폐성 시기
4. 구조 및 특징
5. 주변 유적
6. 현황 및 가치
해발 195m의 동산 꼭대기 부근에 돌로 쌓은 산성이다. 현재 성곽과 성벽은 대부분 파괴되고 허물어진 상태로 남아있다.
언제 성이 만들어졌는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 때 낙동강을 따라 수도 경주로 침입하려는 일본인을 막기 위해서 처음 쌓은 것으로 여겨진다.
양산의 시가지를 발 밑에 두고 멀리 낙동강까지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비록 훼손되었지만, 축성 당시 성의 규모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성의 북동쪽에는 이 산성과 비슷한 신기리산성이 있어 쌍성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근처에 고분군과 양산 패총이 있어 이 일대가 신라 시대의 중요한 곳으로 여겨진다. 양산 북부동 산성은 신라 시대 양산 지역의 방어 체계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적이다.
참조
[1]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http://gwanbo.mois.g[...]
대한민국 관보
2011-07-28
[2]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3]
보고서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 1185번지 일원 내 梁山 架山里遺蹟 Ⅴ. 고찰
https://www.cha.go.k[...]
양산
2015-09-01
[3]
보고서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양산석산지구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http://www.feaci.or.[...]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